외국 선수들의 이름을 정확히 읽고 쓰는건 의외로 난이도가 높은 일이다. 대부분의 경우는 알파벳을 그대로 읽으면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심심찮게 나오다보니 제대로 하려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나마 스타급 선수들은 국내에서도 비교적 정확하게 발음이 되는 편이지만, 인지도가 떨어지는(바꿔 말하면 정확히 짚어줄 팬층이 없는) 롤플레이어나 가비지급 선수들 상황은 암전. 가장 대표적인 예가 터바이어스 '토비아스' 해리스. 물론 발음도 너무 깊게 파고 들어가면 한도 끝도 없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굳어진 표기로 적당히 넘어가는게 맞다고 본다. 하지만 명백하게 틀렸다면 그건 짚고 넘어가야 하지 않을까.
NBA에서도 리그와 각 구단별로 발음 가이드가 있다. nba.com이나 각 구단별 game note에서 찾아볼 수 있다. 사운드로 가장 확실한건 로컬 중계다. 물론 로컬이라고 절대 진리는 아니지만 경험상 거의 99% 맞는 편이다. 소속 구단과 연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포틀 선수들만 다뤄보도록 하자. 발음 표기는 바스켓볼 레퍼런스와 nba 공홈의 게임노트를 참조했다. 대문자 표기는 강세를 의미.
Shabazz Napier
\Shuh-BAZZ NAY-pier\
셔바즈 네이피어
- 이거 쓰기 전엔 '샤'바즈라고 읽었는데 흠.. 참고로 미네소타의 Shabazz Muhammad는 Shuh-BOZZ라고 읽는다-_-;;
Noah Vonleh
\von-LAY\
노아 본레이
- 보통은 본레라고들 쓰는데 정확한 발음은 '본레이'다. 영어 중계 듣다보면 '본리'에 가깝게 들릴 때도 있다.
머레이가 머리인 것과 비슷한가..
Al-Farouq Aminu
\Al-Fah-Ruke Ah-ME-new\
알파루크 아미뉴
- 아미누로 굳어졌는데 정확한 발음은 아미뉴. 미누와 미뉴의 차이가 그렇게 크질 않으니.. 이정도는 넘어가도 될듯
Pat Connaughton
\CONN-uh-ton\
팻 코너튼
- 뭔가 복잡해보이지만 정작 읽기는 간단하다. 코너톤, 코너튼, 코너턴 중에 맘에 드는 걸로 골라잡으면 되겠다ㅋ
Allen Crabbe
앨런 크랩
- 처음엔 나도 좀 헷갈렸는데(크라베?크래브?) 로컬 중계 들어보면 크랩으로 발음.
아직까지 인지도가 낮아서 그런지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혼선을 빚고 있다. 국내중계진도 오락가락하는 편이고.
Meyers Leonard
마이어스 레너드
- 크랩보다 그래도 인지도가 있지만 그만큼 틀리는 빈도도 높은 마이어스 레너드다.
일단 Meyers부터. 메이어스.. 아니다-_-;; 로컬 중계를 들어보면 확실하게 '마이어스'라고 발음한다. 차라리 '마일스'면 모를까.. 실제로 현지 캐스터들도 마일스에 가깝게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마이어스가 처음 서머리그 참가했을때 경기후 인터뷰에서 '마이어스'라고 직접 정정해준 적도 있다. 그런데 국내 중계 보면 '메이어스'라고 발음한다. 듣다가 하도 답답해서 트위터로 한마디 했더니 피드백이 된건지 캐스터님이 마이어스라고 발음하다가 옆에서 해설이 자꾸 메이어스라고 하니까 덩달아서 다시 메이어스로 롤백되었다ㅎㅎ 솔직히 이글을 쓰게 된 동기의 절반 이상은 마이어스 때문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참고로 같은 철자를 쓰는 유명인으로는 튜더스-_-에서 헨리8세 역을 맡았던 배우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Jonathan Rhys Meyers)가 있다. 로컬 광고로 자주 나오는 Fred Meyers도 마이어스라고 읽는다.
Leonard도.. 같은 철자를 쓰는 Kawhi Leonard는 거의 다 '카와이 레너드'인데, 마이어스는 레너드와 레오나드가 반반이다;; 레오나드는 틀렸다기보다 선택의 문제라고 보지만 그래도 일관성은 갖추는게 좋지 않을까.
Festus Ezeli
\Eh-ZEE-lee\
페스투스 에질리
- 가끔씩 이질리, 이젤리도 보이지만 그래도 우승팀 멤버의 위엄인지 이건 거의 다 맞게 발음하는거 같다.
(170331 추가)
(170411 수정)
Jusuf Nurkić
you-SUF nur-KITCH (game notes)
\you-SOOF nur-KITCH\ (BR)
유수(서)프 너키치
- 레퍼런스에는 명확하게 수프(SOOF)라고 적혀있고, 게임노트에는 다소 애매하게 표기가 되어있다. SUF를 어떻게 보느냐의 문제인데...
일단은 유수프가 더 맞는거 같지만 유서프도 뭐.. 틀렸다고 단정짓기는 힘들어 보인다.
(171126 추가)
Caleb Swanigan
SWAN-again (game notes)
케일럽 스와너겐
\SWAN-ih-genn\ (BR)
케일럽 스와니겐
- Caleb은 케일럽이라고 들리지만 켈럽도 허용범위 내인 듯하다. 그러나 칼렙은 분명히 아니다. Swanigan의 경우는 뒷부분, 즉 nigan의 발음 표기가 엇갈리는데.. 사실 들리기는 니건에 가깝게 들리지만 발음 표기를 따라가자면 너겐/니겐이 되겠다. 다만 스웨는 확실히 아닌 것으로 보인다. 스와+너겐/니겐/니건 까지가 허용범위 아닐까?
* 번외편(전 포틀 선수들)
Nicolas Batum
\nick-O-la ba-TOOM\
니콜라 바툼
- 고백하자면 나도 꽤 오랫동안 별 생각없이 니콜라스라고 읽었다. 초창기에는 로컬에서조차 니콜라스라고 불렀고, 이후에는 줄여서 Nic이라고 많이 불렀기 때문에 틀렸는지 인식을 못 했다. 하지만 '니콜라'가 정확한 발음이다. 아울러 바텀 아니고 바툼이다.
Arron Afflalo
\uh-FLAH-loh\
애런 어플라로
- 쓰기도 힘들고 읽기도 힘든 분이다. 나도 정확하게는 이번에 처음 알았다;;
Victor Claver
\Cla-VAIR\ 또는 Cla-VARE
빅터 클라베어
- 무려 전국중계에서 캐스터(케빈 할란이었던걸로 기억..)를 당황시키신 분ㅋㅋ 스펠링은 단순한 편이지만 그게 오히려 함정인 케이스. 게다가 스페인 사람이라서 더 헷갈린다. 사실 'ver'에서 '베어'라는 발음을 떠올릴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나도 처음에는 엄청 헷갈렸고(클레버? 클라베르?) 로컬 중계를 들으면서도 긴가민가 했는데, 아래 기사를 통해 '클라베어'로 최종 확인되었다.
덴버쪽 웹사이트에서 클라베어의 발음 표기를 잘못 기제했다는 Oregonian지 기사
'Blazer's E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 Darkstar) Pritchard, LeGarie and What Happened (0) | 2016.08.01 |
---|---|
바늘은 움직이지 않았다(update) (0) | 2016.07.24 |
1라운드 소감 (0) | 2016.05.02 |
투르 드 아메리카(tour de America) (0) | 2016.03.27 |
(evansclinchy) 팀 빌딩의 길 (0) | 2016.03.23 |